이번 포스팅은 Ubuntu에서 Samba를 설정하고 Window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연결하여 작업환경을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ubuntu 터미널에서
위의 samba와 smbfs 패키지를 설치하여 줍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은 samba의 config 파일을 약간 수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위와 같이 'usershare owner only = false' 이 부분만 추가하여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난 후, 공유하시고자 하는 디렉토리에다가 권한설정을 풀로 줍니다.
그 다음은 Ubuntu의 메인화면으로 가셔서 그 디렉토리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주시면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Sharing Options'을 선택합니다.
eth0 장치에 inet addr: 192.168.153.128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ip주소를 익스플로워 주소창에 입력합니다.
아래의 그림처럼요
그러면 아까 Ubuntu에서 공유설정을 해놓았던 디렉토리가 나옵니다.
그 디렉토리를 오른쪽 클릭하셔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해주시면 끝~
저 같은 경우는 이미 z:가 잡혀 있는 상태이므로 y: 잡히는 모습입니다. 대부분 z: 드라이버가 잡혀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Window에서 내컴퓨터에서 봤을 때 모습입니다.
이렇게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연결이 되고, 소스코드를 작성하실 때, sourceinsight 등을 통해서 작업하시면 되겠습
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ubuntu 터미널에서
# sudo apt-get install samba smbfs |
위의 samba와 smbfs 패키지를 설치하여 줍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은 samba의 config 파일을 약간 수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 sudo vi /etc/samba/smb.conf |
위와 같이 'usershare owner only = false' 이 부분만 추가하여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난 후, 공유하시고자 하는 디렉토리에다가 권한설정을 풀로 줍니다.
# chmod 777 원하는 디렉토리명 (example) # chmod 777 /home/ |
그 다음은 Ubuntu의 메인화면으로 가셔서 그 디렉토리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주시면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Sharing Options'을 선택합니다.
(!!) 수정사항 : Allow others to create and delete files in this folder ( 채쿠룰 꼭 해요 )
(!!) 수정사항 : Guest access (for people without a user account) ( 체크를 꼭 해제 )
위의 그림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나서 적용시켜주면은 됩니다.
위에서 Modify Share라고 되어 있는 것은 제가 한 번 적용을 시켰기 때문에 나오는 메뉴이니 Apply 해주세요
이제 Ubuntu에서 해야 할 작업은 전부 끝났습니다.
Window에서의 작업은 간단합니다.
Explore 하나를 Open하신 후, 주소창에 Linux의 IP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 Linux의 IP를 알아내는 방법
(!!) 수정사항 : Guest access (for people without a user account) ( 체크를 꼭 해제 )
위의 그림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나서 적용시켜주면은 됩니다.
위에서 Modify Share라고 되어 있는 것은 제가 한 번 적용을 시켰기 때문에 나오는 메뉴이니 Apply 해주세요
이제 Ubuntu에서 해야 할 작업은 전부 끝났습니다.
Window에서의 작업은 간단합니다.
Explore 하나를 Open하신 후, 주소창에 Linux의 IP를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 Linux의 IP를 알아내는 방법
# ifconfig |
eth0 장치에 inet addr: 192.168.153.128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ip주소를 익스플로워 주소창에 입력합니다.
아래의 그림처럼요
그러면 아까 Ubuntu에서 공유설정을 해놓았던 디렉토리가 나옵니다.
그 디렉토리를 오른쪽 클릭하셔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해주시면 끝~
저 같은 경우는 이미 z:가 잡혀 있는 상태이므로 y: 잡히는 모습입니다. 대부분 z: 드라이버가 잡혀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Window에서 내컴퓨터에서 봤을 때 모습입니다.
이렇게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연결이 되고, 소스코드를 작성하실 때, sourceinsight 등을 통해서 작업하시면 되겠습
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그래밍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프레임버퍼 설정하기 (0) | 2011.09.22 |
---|---|
공유라이브러리(SO파일) 만들기 (0) | 2011.09.20 |
Linux script 파일의 로그메세지에 색깔을 입혀보자. (0) | 2011.08.29 |